티스토리 뷰
목차
매달 10만 원씩 저축만 해도 3년 뒤 최대 1,551만 원을 받을 수 있는 청년 전용 통장, 바로 청년내일저축계좌입니다.
정부 지원금부터 세금 면제, 고금리 이자까지 혜택이 가득한 이 통장은 청년도약계좌와 중복 가입도 가능해서 전략적으로 활용하면 훨씬 유리합니다.
오늘 포스팅에서는 혜택, 조건, 주의사항, 두 계좌 비교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.
✅ 청년내일저축계좌란?
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정부가 매달 현금으로 지원금을 넣어주는 청년 전용 적금입니다.
월 10만 원씩 3년 저축하면, 정부 지원금 + 이자 포함 최대 1,551만 원 수령 가능!
정부 지원금 규모
기준 중위 소득 50% 이하: 월 30만 원 → 총 1,080만 원
기준 중위 소득 100% 이하: 월 10만 원 → 총 360만 원
👉 이자까지 포함하면 약 1,551만 원 수령 가능 (연 5%, 비과세 기준)
🎯 가입 조건
- 나이: 만 19세 ~ 34세
- 개인 소득: 월 50만 원 초과 ~ 250만 원 이하
- 가구 소득: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 (부모 소득 포함됨)
📌 단, 1~2인 가구는 유지 기준이 완화되고, 유지 시에는 본인 소득만 적용됨
⚠️ 주의사항 (반드시 지켜야 함)
1. 정해진 기간 내 자동이체 필수
→ 예: 6월 납입은 5월 23일~6월 23일 사이
→ 날짜 지연 시 지원금 미지급
2. 3년 근로 유지
→ 매년 근로 여부 조사
→ 자발적 퇴사 시 환수 가능
→ 단기 알바도 인정됨
3. 자립 교육 10시간 이수
→ 온라인 수강 가능
4. 자금 사용 계획서 제출
5. 소득 요건 계속 충족
🏦 신청 방법 및 기간
- 신청처: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복지센터 방문
- 필요서류: 가족관계증명서, 재직증명서 등
- 2025년 신청기간: 5월 1일 ~ 5월 21일
※ 짧은 모집 기간이므로 빠른 신청 필수!
🔄 청년도약계좌와 비교
청년내일저축계좌
- 만기: 3년
- 정부지원: 최대 월 30만 원
- 금리: 최대 5%
청년도약계좌
- 만기: 5년
- 정부지원: 최대 월 33,000원
- 금리: 최대 6%
공통사항: 둘 다 비과세, 정부지원금에도 이자 발생
📌 전략 추천:
1.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먼저 10만 원 납입
2. 여유자금은 청년도약계좌에 분산 저축
🎖️ 군복무 중 청년은?
- 청년내일저축계좌: 가입 불가
- 청년도약계좌: 군복무 중 가입 가능
→ 단, 복무 전 가입한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유지 가능
✅ 마무리 정리
청년내일저축계좌는 고금리 + 비과세 + 정부 지원금 3박자를 갖춘 2025년 최고의 청년 금융상품입니다.
✔️ 조건 충족 시 최대 1,551만 원 수령
✔️ 청년도약계좌와 중복 가입 가능
✔️ 5월 1일 ~ 21일, 신청기간 절대 놓치지 마세요!